컴 폰 잘 다루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morning news https://www.voakorea.com/tv/voa-morning-news 더보기 전자계산서 이용 국세청 사칭 https://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seq=29466&utm_source=CM&utm_medium=eDM&utm_campaign=SL_typeC&utm_content=832 더보기 무료 와이파이 이용 시 주의할 사항 무료 와이파이 이용 시 주의할 사항공공장소에서 오픈된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경우 보안에 취약해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우선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해 모바일 뱅킹을 사용한다거나 금융 관련 업무를 보는 것은 피해야 한다. 와이파이 자체가 가짜일 수도 있고 입력하는 정보가 해커에게 모두 오픈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커들이 와이파이를 이용해 정보를 빼낼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에빌 트윈(evil twin)’이라고 한다. 가짜 와이파이 핫스팟을 개설해 사용자가 진짜 와이파이망인 것처럼 착각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진짜 와이파이에 연결한 것으로 여기고, 인터넷 서핑을 하거나 이메일을 열람하거나 은행 업무를 보게 되는데, 이런 모든 행위들이 공격자들에게 노출된다. 스마트폰에 와이파이 자동접속 기.. 더보기 정보유출형 악성코드인 폼북이 사용자가 수신하는 정상 메일을 가로채 거래처 메일이라 의심없이 클릭했다간 낭패 정보유출형 악성코드인 폼북이 사용자가 수신하는 정상 메일을 가로채 악성코드가 포함된 첨부파일을 교체하는 형태로 국내에 유포되고 있다. 안랩은 자사 ASEC 블로그를 통해 폼북(Formbook) 악성코드가 기존 유포 이메일보다 더 정교화된 내용으로 사용자들이 첨부된 파일을 의심없이 실행하도록 유포되고 있는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ASEC에 따르면 현재 유포 중인 폼북은 기존 유포 이메일 상 내용과 키워드가 견적, 구매, 주문 등으로 그간 알려진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메일은 사용자가 평소 수신하는 메일의 내용을 사용하여 첨부파일을 변경한 형태로 아주 교묘해졌다. 기존 폼북은 [그림 1]과 같이 내용의 정교함이 떨어지고 자세한 설명이 ..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