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 폰 잘 다루기

스마트폰 보안 수칙 1. 앱을 다운로드 할 때는 신중하게 다른 사람이 올린 평판 정보를 먼저 확인한다. 2. 앱을 설치하거나 의심스러운 파일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는 반드시 악성코드 검사를 한다. 3. 앱을 설치할 때 과도한 권한을 요구하고 있지 않은지 꼼꼼하게 살핀다. 4.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에 있는URL은 신중하게 클릭한다. 5. 스마트폰용 백신(V3 Mobile Security 등)를 설치하고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한다. 6. 스마트폰의 잠금 기능(암호 설정)을 이용해 다른 사용자의 접근을 막고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한다. 7. 블루투스 기능을 켜놓으면 악성코드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필요할 때만 켜 놓는다. 8. ID, 패스워드 등을 스마트폰에 저장하지 않는다. 9. 백업을 주기적으로 받아서 분실 시 중요한 .. 더보기
내 폰에 숨어든 악성 앱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악성 앱을 의심하자!1. 소액결제를 악용한 불법 과금 지난 2013년 이후 휴대전화 소액결제의 허점을 이용한 모바일 악성코드와 이로 인한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소액결제를 악용하는 악성 앱은 주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피싱(스미싱)이나 공유기 변조, 취약한 웹사이트를 통해 유포된다. 주로 구글 크롬이나 택배 등의 아이콘으로 가장해 설치되며, 삭제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피해를 야기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통신료 청구서의 요금 변화 추이를 면밀하게 살피면 피해 사실을 인지하고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청구서를 이용하고 있다면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 문자메시지(SMS) 수신 및 발신 이상 현상악성 앱은 공격자의 명령을 받거나 인증정보 등을 가로채.. 더보기
디지털시대의 안전과 윤리 더보기
믿을만한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