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 폰 잘 다루기

랜섬웨어 이용 거액요구

랜섬웨어 공격이란 악성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일종인 랜섬웨어를 이용해 피해자의 컴퓨터 체계를 감염시켜 접근을 제한한 뒤 몸값을 요구하는 사이버 범죄 행위입니다.

북한은 ‘워너크라이 공격’ 등 지난 몇 년간 다수의 랜섬웨어 공격을 일으킨 해킹 조직들의 배후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최대 송유관 회사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 공격으로 가동을 중단한 지난 5월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빌의 한 주유소 주유기 덮개에 '가스가 떨어졌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미국에서는 최근 연방정부 등 공공 기관은 물론 민간 부문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실질적인 피해를 입었습니다.

지난 5월 미국 최대 송유관 회사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6일 동안 가동이 중단돼 미 동부 지역의 기름값이 한때 폭등하기도 했습니다. 또 같은 달 미국 내 쇠고기 소비량의 20% 이상을 공급하는 세계 최대 육가공 업체 JBS도 전산망 해킹 공격을 받았습니다.

지난해에는 미 국무부와 재무부, 상무부, 국토안보부 등 최소 9개의 공공기관이 해킹 공격을 당했고, 미 수사 당국은 러시아와 연계된 해킹 조직을 배후로 지목했습니다.

이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는 점증하는 사이버 위협을 국가 안보 주요 도전과제로 인식하고, 백악관 내 범정부 차원의 사이버 안보 전략을 총괄하는 ‘국가 사이버 국장’ 직을 신설하는 등 대응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등 최근 미국 내 주요 랜섬웨어 공격의 배후로는 러시아가 지목됐지만, 북한 역시 미국의 사이버 대응 정책 범주 안에 포함돼 있습니다.

'컴 폰 잘 다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사이버공격  (0) 2021.10.08
휴대폰 앱 확인하시고 삭제  (0) 2021.09.23
북한 헤커 한국정부 문서 hwp. 집중공격  (0) 2021.01.09
공동인증서  (0) 2020.12.17
오늘의 뉴스  (0) 202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