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OA News &

.화웨이 창업주 딸 체포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손전화를 만드는 유명한 중국 회사, ‘화웨이’ 재무책임자가 캐나다 당국에 체포됐습니다. 프랑스 정부가, 격렬한 반대 시위를 불러일으킨 유류세 인상 계획을 철회했고요. 미 의회가 사우디 아라비아에 대한 제재를 추진하는 소식, 함께 전해드리겠습니다.

진행자) 중국의 유명통신장비 회사, ‘화웨이’ 재무책임자가 캐나다에서 체포됐다고요?

기자) 네.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 멍완저우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지난 1일 캐나다 사법당국에 체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캐나다 법무부가 이런 사실을 언론에 공개했는데요. 이번 조치는 미국의 요구로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멍 CFO가 조만간 미국으로 이송될 것으로 주요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여기에 중국이 반발하면서, 국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진행자) 체포된 이유는 뭔가요?

기자) 혐의 내용 등은 공개할 수 없다고 캐나다 법무부가 밝혔는데요. 멍 CFO에 대한 보석 심리를 7일 진행한다고만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캐나다 언론은 화웨이가 미국의 대이란 제재를 어긴 게 멍 CFO 체포 사유라고 보도했고요.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정부가 지난 2016년부터 이란·쿠바·수단·시리아에 대한 금수 조치 위반과 관련해 화웨이를 조사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진행자)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 조치를 어겼기 때문이라고, 언론이 추정하는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 기업의 기술이 포함된 제품을 화웨이가 이란에 수출한 게, 문제가 됐을 가능성이 거론되는데요. 미국 정부는 지난 4월, 대북한·대이란 제재 위반을 이유로 중국 통신장비업체 중싱텅쉰(ZTE)에 7년동안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조치를 단행했습니다.

진행자) ZTE 문제는 그리고 나서, 어떻게 됐나요?

기자) 미국 퀄컴에서 손전화 핵심부품인 ‘칩’을 공급받지 못하게 돼, ZTE는 폐업위기에 몰렸는데요. 결국 ZTE가 미국 정부에 거액 벌금 납부하고, 경영진 교체와 미국이 지정하는 준법 감시인 배치를 수용하고서야 제재가 풀렸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선처를 요청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진행자) 이번에 체포된 멍완저우 화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 어떤 인물입니까?

기자) 화웨이 창업주인 런정페이 회장의 딸입니다. CFO 직책와 함께, 화웨이 이사회 부의장도 맡고 있는데요. 향후 회사를 이끌 후계자로 유력하게 꼽힙니다.

진행자) 체포 사실에 대해, 중국 측의 반응은 어떤가요?

기자) 중국 정부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구금 이유를 즉각 밝히고, 당사자를 석방해 정당한 권리를 찾게 하라”고 촉구했는데요. 이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 당국에 “엄정한 교섭”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화웨이 측도 성명을 냈는데요. 멍 CFO가 체포된 이유를 도무지 알 수 없다며, "미국과 캐나다 사법 제도가 정당한 결론에 이를 것이라고 믿는다"고 적었습니다. 중국 언론은 이보다 직설적인 표현으로 미국을 비난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중국 언론은 뭐라고 합니까?

기자) “미국이 화웨이의 국제적 신뢰를 훼손해, (소비자들이) 화웨이 상품을 사지 못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관영 국제전문지 환구시보가 주장했고요. 인민일보는 미국이 제재에 관한 국내법을 국제적으로 적용시키려한다면서, “미국 패권주의의 본질을 다시 한번 보여준 사태”라고 인터넷 사회연결망(SNS)에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