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악성 앱을 의심하자!
1. 소액결제를 악용한 불법 과금
지난 2013년 이후 휴대전화 소액결제의 허점을 이용한 모바일 악성코드와 이로 인한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소액결제를 악용하는 악성 앱은 주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피싱(스미싱)이나 공유기 변조, 취약한 웹사이트를 통해 유포된다. 주로 구글 크롬이나 택배 등의 아이콘으로 가장해 설치되며, 삭제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피해를 야기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통신료 청구서의 요금 변화 추이를 면밀하게 살피면 피해 사실을 인지하고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청구서를 이용하고 있다면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 문자메시지(SMS) 수신 및 발신 이상 현상
악성 앱은 공격자의 명령을 받거나 인증정보 등을 가로채기 위해 문자메시지(SMS)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문자메시지에 전달된 인증정보를 가로채 공격자에게 전송하거나 특정 정보를 탈취하기도 한다. 문자를 보냈는데 내 발신함에 저장되지 않거나 상대방이 받지 못하는 경우, 또 유독 어떤 사람이 보낸 문자만 계속 받지 못하고 있다면 악성 앱 설치를 확인해봐야 한다. 이 밖에도 포털 사이트의 인증과 관련된 문자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악성 앱을 의심해볼 수 있다.
3. 최초 실행 시 광고 노출 또는 임의로 다운로드한 앱의 설치 유도
광고 노출 동의 여부를 묻는 앱을 설치한 기억이 없는데 어느 날 스마트폰의 잠금 화면을 해제할 때 광고성 ‘알림 바(bar)’가 나타나거나 화면 전체에 광고가 나타난다면 악성 앱이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앱을 실행하지 않았는데도 광고가 나타나거나 구글 플레이의 앱 설치로 연결되는 경우 악성 앱 설치를 의심해야 한다. 이런 유형의 앱 중에는 설치 후 일정 시점이 지난 후에 동작하는 경우도 있다. 또 패키지매니저를 통해 사용자 모르게 다운로드된 앱의 설치 요청을 할 경우 악성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4. 비정상적인 데이터 사용량 증가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되는 앱들은 내부의 정보를 외부로 보내거나 외부에서 다른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대부분의 악성 앱은 와이파이가 연결되지 않아도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상 앱에 비해 데이터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다. 특별한 이유 없이 평소에 비해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했다면 악성 앱 설치를 의심해볼 수 있다.
5. 잦은 프로그램 충돌 발생 또는 앱 실행 불가
평소 잘 사용하던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거나 스마트폰의 잠금 화면을 해제할 때 앱이 비정상 종료되었다는 알림이 나타날 경우 악성 앱 설치를 의심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악성 앱 제작자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해보지 않기 때문에 특정 스마트폰 기기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상당수의 악성 앱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잠금 화면을 해제할 때 동작하기 때문에 해당 악성 앱에 문제가 있을 경우 화면 잠금 해제 시 비정상적인 앱 종료가 발생하기도 한다.
'컴 폰 잘 다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과 일본 (0) | 2017.11.08 |
---|---|
스마트폰 보안 수칙 (0) | 2017.10.01 |
디지털시대의 안전과 윤리 (0) | 2017.04.06 |
믿을만한가? (0) | 2017.04.06 |
내가 방문하는 싸이트는 믿을만한가? (0) | 2017.04.06 |